Archive by year 2016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① 무더위 속 ‘한 알’, 슈퍼베리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① 무더위 속 ‘한 알’, 슈퍼베리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먹거리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낯선 이름들이 어려울 때가 있었다. 모르기 때문에 선뜻 손이가지 않았던 소위 ‘베리류’도 그 중 하나다. 베리라면 딸기(스트로베리)가 전부였던 시절을 지나, 블루베리, 라즈베리 등 익숙하게 먹지 않았던 과일들이 우리의 식습관을 치고 들어오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건강함에 집중하면서 이들의 입지는 더욱 탄탄해졌다. 대중화의 과정도 빨랐다. 어느새 블루베리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라즈베리라는 존재 역시 […]

아보카도? 기네스북에 오른 영양만점 과일

아보카도? 기네스북에 오른 영양만점 과일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일본 만화 ‘미스터 초밥왕’에서 “참치 대뱃살의 맛이 난다”고 표현됐던 아보카도. ‘귀하신 몸’이던 아보카도가 언제부터인가 대형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일이 됐다. 울퉁불퉁한 겉모습과 달리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하는 아보카도는 기네스북이 공인한 가장 영양가 높은 과실로 잘 알려져 있다. 전 세계 과실 38종 가운데 다량의 단백질과 티아민, 리보플라민, 비타민A 등 11종의 비타민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

꿀잠의 미학③깊은 잠을 위한 ‘숙면 푸드’ 4선

꿀잠의 미학③깊은 잠을 위한 ‘숙면 푸드’ 4선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침대에 누워서도 스마트폰과 마주하며 기상과 출근으로 이어질 바쁜 아침의 일과를 애써 미루는 일부터, 무거운 몸과 달리 좀처럼 오지 않는 잠을 기다리며 뜬 눈으로 밤을 지새는 것까지. 이유가 무엇이 됐든 아침해와 함께 기상을 하는 순간 지난 밤 충분히 이루지 못한 잠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잠은 내일을 위한 준비다. 그럼에도 타의든 자의든 잠을 쉽게 이루지 […]

열대야, 잠 못 이루는 밤 ③숙면에 도움되는 음식은?

열대야, 잠 못 이루는 밤 ③숙면에 도움되는 음식은?

[헤럴드경제=이정환 기자]서울ㆍ경기 등 수도권 지역은 지난 94년 이후 22년만에 가장 무더운 여름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서울 열대야 발생일수는 10일로 최악의 무더위가 찾아왔던 94년 7월의 21일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8월에도 ‘찜통더위’와 ‘열대야 현상’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열대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수면을 돕는 음식들에 대한 네티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면에 […]

화채, 색다르게 즐기는 법?

화채, 색다르게 즐기는 법?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수박 속을 긁어낸 뒤 톡 쏘는 탄산수와 수박 과육, 과즙을 넣어 만든 수박 화채는 그야말로 여름철 별미다. 찬기 가득한 화채를 한 입 가득 떠먹노라면 온 몸에 냉기가 돌 정도. 그러나 화채라고 꼭 수박 화채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여름 과일인 포도, 참외 등도 수박을 대체할 만 한 좋은 재료. 마찬가지로 화채 국물도 탄산수나 탄산음료만 […]

여름과일의 여왕, 포도의 ‘달콤한’ 효능

여름과일의 여왕, 포도의 ‘달콤한’ 효능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여름을 알리는 것은 비단 수박만이 아니다. 차갑게 냉장보관한 포도송이를 꺼내, 포도알을 하나씩 떼어먹는 일은 여름이기에 가장 맛있고 재밌는 식도락 중 하나다.  수박, 복숭아 등에 이어 대표적인 여름 과일로 꼽히는 포도는 시중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섭취도 간편해서 더욱 친숙한 과일이다. 여름날이면 유독 결핍되기 쉬운 수분과 당을 알차게 보충해주는 고마운 식품이기도 하다. 여름을 […]

과일? 채소?…이상하게 생긴 너, 정체가 뭐니?

과일? 채소?…이상하게 생긴 너, 정체가 뭐니?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식재료의 다양화로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지에서 낯선 과일과 야채를 접하는 일이 적지 않은 요즘. 그럼에도 익숙하지 않아서, 이름조차 알지 못해서 외면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러나 생소한 식재료라고 무작정 피하는 것은 금물이다. 알고 보면 몸에 좋고 맛도 좋은 식재료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스카프= 블루베리와 생김새가 비슷한 하스카프는 허니베리로도 불린다. 일본 북해도가 원산지지만 최근에는 평창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

코코넛, 버릴 게 하나 없는 기특한 과일

코코넛, 버릴 게 하나 없는 기특한 과일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낯설었던 열대과일 코코넛이 언제부터인가 일상에 스며들었다. 약간 느끼하면서도 달달한, 익숙하지 않은 특유의 맛과 향에 호불호도 갈렸던 게 사실. 그러나 최근 코코넛은 유명 프랜차이즈 카페를 중심으로 라떼 등의 재료로 쓰이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물론 그렇다고 잘 알지도 못하는 것을 무턱대고 먹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더욱이 일정 시간 방치해두면 […]

무슬림이 아니어도 “좋아요”…웰빙 식품 ‘할랄 식품’

무슬림이 아니어도 “좋아요”…웰빙 식품 ‘할랄 식품’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이슬람 시장이 ‘포스트 차이나’로 급부상하면서 ‘할랄 식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현재 할랄 식품 시장은 약 1800조원 규모로, 전 세계 식품 시장의 20%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무슬림 인구의 증가와 무슬림 국가의 경제력 향상에 힘입어 할랄 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할랄 식품 시장은 거의 영향을 받지 […]

할랄 식품의 기준, ‘할랄 인증’

할랄 식품의 기준, ‘할랄 인증’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할랄 식품은 사용하는 모든 재료의 생산에서부터 유통까지 이슬람 율법에 따라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할랄 식품을 포함한 할랄 인증 제도를 도입해 소비자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할랄 식품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와 할랄 식품 관련 양해각서(MOU) 체결을 계기로 할랄 식품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