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이 무섭다…노년층 건강 지키는 식품

여름이 무섭다…노년층 건강 지키는 식품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연일 극심한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노인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노년층은 다른 세대보다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나 체력, 면역력 등이 낮기 때문에 더운 날씨에 가볍게 지나갈 수 있는 질환도 심각한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 관리의 기본은 고른 영양 섭취와 적절한 운동이지만, 노인들의 경우 기초대사량과 식욕이 떨어지고 […]

이열치열…땀 흘리며 먹는 스태미나식 ‘육개장’

이열치열…땀 흘리며 먹는 스태미나식 ‘육개장’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육개장은 삼계탕이나 민어와 함께 손꼽히는 여름철 스태미나 음식이다. 지치기 쉬운 여름철, 고추기름이 빨갛게 뜬 육개장 국물에 밥을 말아 한 그릇 비우고 나면 속이 후련하고 든든해진다. 육개장은 대표적인 ‘이열치열(以熱治熱)’ 음식이다. 고기를 푹 고아서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만든 음식이므로 위에 부담이 적고, 얼큰하게 끓인 까닭에 입맛을 자극해 더위에 지친 식욕을 돌려놓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한식재단에 […]

안티 에이징 푸드?…연령별로 다르게 먹어야

안티 에이징 푸드?…연령별로 다르게 먹어야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해가 다르게 늘어지는 피부를 보고 있노라면, ‘동안’, ‘항산화’란 말에 초연해지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면역력ㆍ항산화에 좋다고 제대로 따져보지도 않고 먹는 것은 무모한 일. ‘젊음’에 한 발 가까워지기 위해선 연령대에 따라 꼭 먹어야 할 영양소가 함유된 안티에이징 푸드를 골라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20~30대?…‘안티 스트레스’에 초점 맞춰야= 20~30대는 신체적 기능이 최고조에 달할 시기이지만, 동시에 학업, […]

고기에 든 지방, 다 같은 종류가 아니다?

고기에 든 지방, 다 같은 종류가 아니다?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돼지고기 지방이 소고기 지방보다 좋다.” 소고기와 돼지고기 기름에 대한 논쟁은 계속돼 왔다. 지방은 체내에 들어가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리되는데 지방산이 몸에 들어와 영양소로서 작용한다. 고체형태로 이뤄진 포화지방산은 체내에서 합성돼서 섭취가 필요없고, 액체상태의 불포화지방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몸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 매체에 따르면, 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된 육류와 유제품의 식단을 따르는 나라에서 그렇지 않은 국가에 […]

올여름 최강 폭염-13억 中의 무더위 해소법은 ‘차(茶)’

올여름 최강 폭염-13억 中의 무더위 해소법은 ‘차(茶)’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과거 중국의 아내들은 남편이 전쟁터에 나갈 때면, 짐에 당귀를 넣어줬다. 기력이 다했을 때는 당귀를 먹고 기운을 차리라는 의미였다.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 당귀는 아직도 중국인들이 즐겨먹는 찻잎이다. 중국인과 차(茶)는 떼려야 뗄 수 없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는 중국인들에게 지방성분을 제거해주는 차는 꼭 필요한 음식이다. 가장 흔한 차인 녹차만도 종류가 90여종에 달한다. 더운 […]

암을 예방해주는 6가지 식품

암을 예방해주는 6가지 식품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한국인 3명중 1명은 살면서 한 번쯤 암에 걸린다.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13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6%였다. 남성(78세)은 5명 중 2명(38.3%), 여성(85세)은 3명 중 1명(35.0%)이 암 투병을 경험했다. 암을 예방하기 위한 식습관이 필요하다. 암을 예방하는 야채 위주로 식단을 꾸리면 암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암을 예방하기 위한 […]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② 베리류 ‘최강자’? 마키 베리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② 베리류 ‘최강자’? 마키 베리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베리류’에서도 꾸준히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더 강력하고, 더 건강한베리류의 발견이 이어졌고 그 계보는 블루베리, 라즈베리,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등으로 이어졌다. 더 이상 나올 것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때데, 불현듯 또 하나의 ‘베리’가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하반기 무렵이다. ‘베리 중에서도 단연 최고’라는 찬사를 받으며 차세대 슈퍼 베리로 각광받은 […]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① 무더위 속 ‘한 알’, 슈퍼베리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① 무더위 속 ‘한 알’, 슈퍼베리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먹거리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낯선 이름들이 어려울 때가 있었다. 모르기 때문에 선뜻 손이가지 않았던 소위 ‘베리류’도 그 중 하나다. 베리라면 딸기(스트로베리)가 전부였던 시절을 지나, 블루베리, 라즈베리 등 익숙하게 먹지 않았던 과일들이 우리의 식습관을 치고 들어오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건강함에 집중하면서 이들의 입지는 더욱 탄탄해졌다. 대중화의 과정도 빨랐다. 어느새 블루베리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라즈베리라는 존재 역시 […]

아보카도? 기네스북에 오른 영양만점 과일

아보카도? 기네스북에 오른 영양만점 과일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일본 만화 ‘미스터 초밥왕’에서 “참치 대뱃살의 맛이 난다”고 표현됐던 아보카도. ‘귀하신 몸’이던 아보카도가 언제부터인가 대형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일이 됐다. 울퉁불퉁한 겉모습과 달리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하는 아보카도는 기네스북이 공인한 가장 영양가 높은 과실로 잘 알려져 있다. 전 세계 과실 38종 가운데 다량의 단백질과 티아민, 리보플라민, 비타민A 등 11종의 비타민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

꿀잠의 미학③깊은 잠을 위한 ‘숙면 푸드’ 4선

꿀잠의 미학③깊은 잠을 위한 ‘숙면 푸드’ 4선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침대에 누워서도 스마트폰과 마주하며 기상과 출근으로 이어질 바쁜 아침의 일과를 애써 미루는 일부터, 무거운 몸과 달리 좀처럼 오지 않는 잠을 기다리며 뜬 눈으로 밤을 지새는 것까지. 이유가 무엇이 됐든 아침해와 함께 기상을 하는 순간 지난 밤 충분히 이루지 못한 잠은 늘 아쉬움으로 남는다. 잠은 내일을 위한 준비다. 그럼에도 타의든 자의든 잠을 쉽게 이루지 […]